반응형
** KOCW에서 이석복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(2015년) 강의를 수강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.
http://www.kocw.net/home/search/kemView.do?kemId=1169634
[컴퓨터네트워크
인터넷을 동작시키는 컴퓨터네트워크 프로토폴을 학습한다.
www.kocw.net](http://www.kocw.net/home/search/kemView.do?kemId=1169634)
노드 4개로 시작했던 최초의 인터넷(ARPANET)
현재는 →
네트워크 구조
- 네트워크 엣지(가장자리) : 어플리케이션, 호스트
- 네트워크 코어(중심) : 라우터(아래 그림에서 X 표시된 동그라미) / 네트워크 속 네트워크
- 네트워크 사이를 연결 : 통신 링크
네트워크 엣지
- 엔드 시스템 :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 (Web, email)
- 클라이언트 / 서버 모델 (웹 브라우저, 웹 서버, 이메일 클라이언트, 이메일 서버)
TC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
- Connection-oriented(연결 지향)
- 엔드 시스템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
- Relidable(신뢰할 수 있는) / In-order byte-stream(데이터 전송 순서를 유지하는) 데이터 전송
- Flow control : Receiver(수신자)에 맞게 전송
- Congestion control : 과부하 등 감안
- UDP에 비해 신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, 비용이 많이 듦
UDP(User Datagram Protocol)
- Connectionless(비연결)
- 엔드 시스템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
- Unreliable data transfer
- No flow control
- No congestion control
- TCP에 비해 속도가 빠름 → 신뢰할 수 없어도 괜찮은 곳에 사용
TCP의 용도 : HTTP(Web), FTP(File transfer), Telnet(Remote login), SMTP(email)
UDP의 용도 : 스트리밍 미디어, 원격 회의, DNS, 전화(Telephony)
프로토콜(Protocol)이란?
쉽게 말해, 대화(통신)의 규칙, 규격
네트워크 코어
상호 연결된 라우터들의 집합(mesh)
어떻게 데이터는 망을 통해 전달될까?
- 써킷 스위칭 : 호출마다 전용(dedicated) 회로 할당 → 전화망
- 시작부터 끝까지 미리 할당해놓고 시작 (자원 예약)
- 패킷 스위칭 : 불연속적인 덩어리 단위로 망을 통해 데이터를 보낸다 → 인터넷
- 자원을 예약하지 않음
패킷 스위칭 vs 써킷 스위칭
- Band width(통신망-Link 의 전송 가능 속도) : 1Mb/s 일때
- 유저가 100kb/s를 사용할 때(When active)
- 10%의 시간에 활성(Active)된다면
- 써킷 스위칭 : 10명의 유저 감당 가능
- 패킷 스위칭 : 35명의 유저를 감당해도 활성 유저가 10명 초과할 확률이 0.0004 미만
- 인터넷에서 패킷 스위칭을 사용하는 이유 : 인터넷 사용 시, 특정 시점에만 데이터 송수신하는 경우가 많음
- 단, 동시 접속을 해야 하는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음
패킷 딜레이의 원인
- Processing delay : 패킷을 확인해야 함 (비트 에러, 목적지 등)
- Queueing delay : Input속도가 Output속도보다 빠르면 → queue에 저장해야 함
- Transmission delay : 패킷이 모두 통과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
- 패킷 길이(bits) / 링크 bandwidth(bps) → s(second) 단위
- Propagation delay : 전송에 걸리는 시간 → 거리/빛의 속도
패킷 딜레이를 줄여보자
- Propagation delay → 불가능
- Processing delay : 라우터 성능 개선
- Queueing delay : ??
- Transmission delay : 케이블 성능 개선(Bandwidth 개선)
- 고속도로 예시
- 톨게이트 하이패스 도입 → Processing delay 개선
- 차선 늘리기 → Transmission delay 개선
- 그럼에서 명절에는 막힌다 → Queueing delay는 어쩔 수 없다
- Transmission 속도가 빨라지면 queue 처리 속도도 빠르지만, 그래도 queue가 쌓여 있다면 처리하는 시간이 걸린다.
- 대부분의 네트워크 문제는 Queueing delay에서 발생한다.
Queue가 넘치면 → 패킷 유실! (대부분의 loss가 여기서 발생)
TCP는 Relialbe하다며?(신뢰성 있다며) → Queue에서 loss가 발생하면? → 재전송해야함 → 그 방식은?
→ 시작 단계에서 재전송한다
- TCP는 네트워크 엣지에 존재하고, 사이에 있는 코어(라우터)는 판단을 하지 않는다.
- → dumb core
반응형
'Computer Science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강) Application layer architecture, HTTP란? (0) | 2023.01.22 |
---|